현업 기획자 도그냥이 알려주는 서비스 기획 스쿨 - 이미준
서비스 기획자가 하는 일 1 => UX와 비즈니스 모델까지 생각한다
- 서비스 기획자가 서비스 개선을 기획할 때는 자신의 경험과 고객 불만을 근거로 해서는 안된다. 자신의 경험이 시작점이 될 수 있지만 궁극적인 서비스 개선은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전략과 방향에 대한 다각도의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ex) 네이버 메인의 변화는 고객 ux, ui만을 위한 변화가 아니다. 광고 플랫폼에서 초록 버튼을 통한 검색과 AI 추천을 강화한 광고 플랫폼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변화시키려는 전략이 있었기에 가능한 변화
- 서비스 기획 개선은 비즈니스 모델과 비즈니스 환경 속에서 서비스 전략이 명확히 세워져야 한다.
서비스 기획자가 하는 일 2 => 개발 환경과 비용까지 생각한다
- 임시저장 기능 : 완성된 글 데이터와 임시저장 데이터를 어떻게 구분할 것인가. 임시저장으로 인해 증가할 쓰레기 데이터의 처리와 비용은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 AWS와 같이 클라우드 DB를 사용하고 있다면 임시저장 데이터가 증가할수록 비용도 올라감
- 서비스 개선 방향이 프로덕트 전체에 미치는 영향과 비용까지 생각해야 한다.
- 서비스 기획자의 관점은 불편점에서만 머물면 안된다. 눈에 보이는 페인포인트는 쉽게 접근 가능하다. 서비스 기획자는 비즈니스 모델과 전략, 개발 환경과 비용, 그리고 서비스 전체의 순환 구조까지 고려하는 폭넓은 시간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서비스 기획자가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 내려면 아이디어가 중요할 것 같지만 아이디어를 구현하려면 자신이 속한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과 정책, 시스템의 한계와 구조를 잘 알고 있어야 한다.
- 일을 하던 처음에는 부끄러움을 무릅쓰고 이사람 저사람에게 물어가며 비즈니스 정책과 시스템을 파악해야 한다.
- 서비스 기획자는 핵심 비즈니스를 it기술이 가능한 형태로 ux를 고려해서 만드는 사람
서비스 기획에서 중요한 것
- ux를 분석하며 얻은 비즈니스 이슈를 해결해내는 것, 가장 중요한 것은 문제해결이다. 문제해결책은 ui적인 것일 수도 있고, 프로세스에 관한 것일 수도 있고, 신기술을 도입하는 것일 수도 있다.
- 서비스란 무언가 목적을 가지고 있는 이용자에게 목적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덕트 전체
- 서비스 기획자의 업무는 핵심 수익 모델이 잘 작동할 수 있도록 구조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사람
마인드맵을 활용한 시스템 기획법
1단계 : 필요한 기능과 데이터 정의
1) 서비스의 재료가 되는 기능과 데이터 생각
2) 데이터를 활용하는 정책을 같은 마인드맵에 써보자
3) 서비스 운영과 관련된 제약사항을 떠올리자
2단계 : 내부와 외부 사용자별 플로우 정리
- 어드민 서비스 사용자별 플로우 정리
3단계 : 정보구조 (IA) 작성
기획자가 자주하는 실수
1. 목적에 벗어난 범위 : 있으면 좋을 것 같은 기능을 추가 하는데 기획자뿐 아니라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감당해야 할 프로젝트 기간과 업무량이 늘어날 뿐 아니라, 촘촘하게 연결된 서비스 내에서 영향을 받는 다른 서비스들이 예상보다 많이 나올 수 있음
2.
카카오와 네이버는 어떻게 은행이 되었나 - 김강원 (0) | 2021.02.20 |
---|---|
[자기혁신] 2021-01-12 한일 및 계획 (Feat. 기획의 정석 - 제안서 PPT편) (0) | 2021.01.12 |
[자기혁신] 기획의 정석 2 - 박신영 (0) | 2021.01.07 |
[자기혁신] 기획의 정석 1 - 박신영(Feat. 좋아하게 되는 힘 기르기) (2) | 2021.01.06 |
[IT] 구글은 소프트웨어를 어떻게 테스트하는가 - 제임스 휘태커 (0) | 2021.01.0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