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자기혁신] 기획의 정석 2 - 박신영

독서

by bigshotlisa 2021. 1. 7. 22:00

본문

기획의 정석 2 - 박신영 

 

1. 자신의 뇌 경영하기 
- 나는 머릿속에서 어떤 그림을 그리고 있는가? 

2. 상대방의 뇌 신경쓰기 
- 나의 기획은, 나의 기획서는, 나의 발표는 상대방의 머릿속에 어떤 그림을 그리고 있는가? 

3. 4MAT으로 정리하기 
- 내 입장에서 편한 방법으로 정리하고 있는가? 아니면 그분의 입장에서 이해하기 쉬운 4단계로 정리하고 있는가? 
- WHY WHAT HOW IF 

4. Real why를 찾기 위해 5why로 물어보기 

5. 도식화하기 
- 막막한 문제를 목적, 문제, 원인, 목표, 콘셉트, 실행 방안으로 구분하고, 도식으로 그리자 

6. 로직트리로 문제 쪼개기
문제가 두루뭉술하면 해결책도 두루뭉술하다. 문제는 최선의 상태와 현실 간의 차이에서 나온다. 

최선의 상태를 로직트리로 쪼개서, 그 쪼갠 프레임으로 현재의 상황을 분석한 후, 날카롭게 문제를 정의하자 

7. 목표 재정의하기 
- 목표가 제대로 정의되지 않으면 문제 자체가 무의미하다. 날카로운 문제 정의에 따라 목표도 날카롭고 구체적으로 재정의 하라 

8. 쪼개고 다시 공통점, 그룹핑, 패턴으로 연결하기 
- 현상에 대한 단순한 나열이 아니라 의미 있는 아웃풋 내기 
- 현상 나열 vs 의미 있는 연결 
- 단순 정보 vs 인사이트 
- 정리 vs 기획 


9. 목표를 콘셉트로 만들기 
-콘셉트는 미디어가 된 소비자들이 자발적으로 퍼뜨리고 싶은 이야깃거리가 되어야 한다 
- 콘셉트는 소비자들이 듣는 첫마디이므로 what이 아닌 why에서 나와야 한다 
- 콘셉트는 소비자들의 왜?라는 물음, 즉 why에 대한 대답이 되어야 한다 
- 콘셉트에 담아야 할 why에 대한 6가지 대답
   왜? -> 의미 있자나
   왜? ->  대세자나,  내성격과 같아 네 잘못이 아니야 

  
10. 기대효과는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예상 피드백으로 알려주기

 

11. 그 분의 뇌가 좋아하는 표현으로 스토리텔링하기 

1) 뇌가 좋아하는 5가지로 표현하기 

- 숫자

- 연결

- 감성

- 비교

- 수사 

2) 경험자아 vs 기억자아 

- 기억에 남기려면 당신의 기획서가 10장이든 100장이든 마지막에는 1장으로 정리하자 


실행 방안을 자신의 스타일대로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머릿속에 기획자의 제안이 그림 그려지도록 해야 한다 

말을 잘하는 사람의 기준은 상대방의 머릿속에 누가 더 생생하게 그림을 그리느냐의 여부 

 

2021-01-07 

하루 기획, 나의 기분, 만나는 사람들의 감정 기획 등 내 자신을 기획하는 것이 가장 어렵다. 기획은 했지만 상황상 미처 할 수 없었던 것은 꼭 있다. 그래도, 중요한 것은 그냥 하는 것이다. 

오늘도 5시간을 자며 그냥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무의식적으로 계획표를 꺼냈고, 무의식적으로 하루 할 것들을 적으며 이렇게 그냥 하면 되는구나를 느꼈다. 하루에 한권 책 읽기 힘들었는데, 과제를 하면서 진작 많이 읽을걸... 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회사에서 갈팡질팡 하면서 일을 하는 데 연봉이 넘적다, 왜 밥값을 안주지? 라고 부정적인 생각이 자꾸만 들어왔다. 직무가 어떤지 평가하기 전에.. 지금 다니는 회사를 취업한 이유는 일단 집 가깝고, 연봉이 다른 중소기업보다 많이 주니까, 그리고 유연근무제를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충분히 다니면서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해서이다. 

오늘 4일차니까 아직 그 실상을 모르지만, 하지만 다니면서 준비하며 꼭 내가 원하는 연봉의 회사를 취직할 것이다. 

 

현대차에 입사하기 위해 서울에서 울산까지 걸어간 사람의 열정은 대단한 것 같다. 나는 직무보다는 연봉, 조건, 밥은 나오는지 등 처우에 대해 만족을 해야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인 것 같다.

하지만 지원하면서 이직 하는 것이 여러모로 코로나 시국에 최선의 선택인 것 같다. 

 

앞으로 더 열심히 하고, 오늘처럼 기상하자마자 책부터 읽는 습관을 들여야겠다. (작심 3일)

-> 인증하기 

회사에서 가만히 멍때리지 말고, 회사 개발 환경, 회사 기능 메뉴얼, 기획팀이 하는 일, 품질관리가 하는 업무 등 나눠져 있으니 치열하게 분석하고 꼼꼼하게 찾아볼것!!

 

+ 오늘은 정말 기분 좋았던 날: 눈 많이 와서 10시 출근, 당근마켓 거래 성사, 팀장님 연차 

 

벌써 회사 출근한지 일주일 짼데 생각했던 것보다 좋은 면도 있고, 나쁜면도 있어서 섣부르게 판단하기 어렵다. 하지만 직무에 대해 직접 알아보고 옆의 사람들 이야기 하는 것, 업무적으로 일하는 것 찾아보며 많이 공부할 것이다. 

 

오늘의 잘한점 : 눈뜨자마자 계획표부터 찾고 책읽은 것, 아빠 공인인증서 알려주기 

 

오늘의 못한점 : 졸리고 피곤하다고 많이 말한 것, 지루하다고 한 것 

 

내일 계획

1) 기획의 정석 실전편 대출

2) 아침 일어나자마자 미라클 모닝 

3) 과제 (자소서 경험정리) 찾기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