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자기혁신] 7가지 보고의 원칙 (Feat. 미래지향성의 원칙, 건의형의 원칙)

독서

by bigshotlisa 2020. 12. 25. 10:56

본문

7가지 보고의 원칙 - 남창희 

 

보고의 원칙 4 미래지향성의 원칙

1. 기획에서의 미래지향성 

2. 통제, 조정에서의 미래지향성

3. 전략수립에서의 미래지향성 

4. 보고 후 복기를 통한 반성과 성장 

5. 우수한 사람의 보고를 예측하고 비교하여 배우기 

 

기획에서의 미래지향성

-> 기획력을 충분히 발휘하여 신뢰감을 확보하라 

 

통제, 조정에서의 미래지향성

-> 정보의 입숙, 즉 관찰로 면밀히 관찰하는 사람이 되는 것이 중요하다 

 

전략수립에서의 미래지향성

-> 앞으로 이런 일이 종종 발생할 듯합니다. 보고자가 미래를 내다보는 습관을 갖고 있다는 증거로 익신 

 

개인 성장을 위한 미래지향성

-> 매 순간 상사를 대신해서 마음 속으로 미리 보고해보고, 발표해보고, 협상해보고, 결정을 내려보자. 그리고 결과를 비교해보라. 

 

  • 보고하는 순간이 진실의 순간이다. 모든 평가가 다 이루어진다.
  • 기획 능력, 통제, 조정 능력이 평가 받는 결정적인 순간이다. 기획력과 통제, 조정력을 부단히 향상할 것
  • 상사에게 보고할 때마다 점검할 것 
  • 미래에 대한 통찰력과 분석력이 최고 
  • 미래를 내다보는 습관을 기를 것 
  • 미래지향성의 원칙은 몇 수 앞을 예견하는 그 자체가 아니라, 사후에 복기하며 자신의 예측과 사후 결과를 비교해보는 습관을 몸에 익힐 때 비로소 가치가 높아진다. 

보고의 원칙 5 건의형의 원칙

-> A와 B 중에서 A 가 더 낫습니다. 따라서 A를 추진하기를 건의합니다. 

 

보고에는 건의가 포함되어야 한다, 새로운 생각을 만들어서 제시해야 한다 

 

건의형의 원칙 

1. 창의력과 자율성의 회복 

2. 인식의 벽과 감성의 벽을 자신감을 갖고 극복 가능케 하는 전문성과 소명의식

3. 문화의 벽, 조직문화에 관한 문제의식

 

자율성과 창의력 회복

1. 직장에서 자주 보는 심각한 문제를 문제로서 인식, 문제를 인식해야 노력의 방향이 설정된다. 단지 문제의식 부족과 잘못된 습관이 문제다

2. 노력하는 수 밖에 없다. 스스로 생각하라. 건의하라 실패도 하고 조롱 섞인 비판도 받아봐라. 자율성, 창의력, 도전정신, 실패를 향한 용기 없이 성장은 없다 

3. 보고 전에 내가 건의형의 원칙을 철저하게 지키고 있는가? 늘 점검하라. 스스로 새로운 생각을 했는지 확인해라. 

 

이 세상 최고의 건의란 자신감과 소신에 가득 찬 것

자신감은 전문성에서, 소신은 소명의식에서 

 

"자신감에 찬 생각을 내놓으려면 우선 전문가가되어야 한다. 전문가가 되기 위해선 많이 읽어야 한다. "

 

전문가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다. 만들어 지는 것이다. 꾸준하고 열성적인 연습과 학습이 필요충분조건이다. 

 

소명의식: 내가 이 직업과 이 어무에 뜻 있는 부름을 받았다는 자기 인식. 그래서 일에 대한 헌신이 뒤따른다. 사명감과 직업 윤리를 늘 생각하게 된다. 

 

인생관의 지시

  • 타협이 불가능한 상황에 빠진다면, 자신의 인생관을 들여다보면서 스스로 판단해야 한다 
  • 융통성이라는 이름으로 현실에 순응하는 인생도 있다. 한편 깐깐하게 보이더라도 원칙을 지키는 인생도 있다. 자신의 이익이 우선인 인생도 있다. 

현실적인 상사와의 갈등 

1. 상사를 설득할 수 없다면, 상사의 의견에 따라라 

2. 상사를 바꿀 수 없다면, 상사의 의견에 따라라 

3. 만약 책임을 회피하지 않는 상사라면, 상사의 의견에 따라라 

4. 책임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는 상사라면, 문서상으로 책임 소재를 확실히 만들어 놓고 상사의 의견에 따라라 

5. 상사는 왕이다. 자신감과 소신이 없는 상태에서 임금과 갈등을 만들지 말라 

 

조직문화에 맞게 행동하라. 다만 여러분이 그러한 조직문화의 희생자가 될 수도 있다. 이 사실을 늘 자각하라. 그리고 가능하면 희생자가 되지 않도록 노력하라. 그러면서 여러분의 의견을 내놓아라.

 

2020-12-25 

 

보고를 할 땐 미래지향성으로 말할 것,

전문가가 되기 위해선 최대한 많은 책을 읽을 것,

소명의식은 자신의 직업과 직무에 대한 직업 정신을 가지고 대할 것,

현실적으로 상사와의 갈등이 생긴다면 설득할 자신이 없으면 상사의 의견을 따를 것 

 

상사가 의견을 묻는 질문을 할 때, 질문에 대해 답을 어떻게 해야하지가 아니라 의견이 없는데 무슨 의견?라고 생각했다. 그 이유는 내가 나의 일에 대해 애착을 가지지 않고 그저 돈을 위해 일했기 때문이다. 돈을 벌어야 하니까 일을 하지 라는 마인드로 일했다. 그래서 업무 시간 외에 내 시간을 쓰고 싶지 않았고, 업무는 철저히 돈을 위해 버는 것이라 생각해 직업의식 또한 가지지 않았다. 

대기업, 공기업에 가면 당연히 소명의식과 전문가가 되고 싶은 열정이 생기지 않을까? 라고 생각했지만 내가 원하는 일이 아니면 똑같이 행동할 것 같다. 어떤 분야의 전문가가 되고 싶은지, 그리고 내가 진정으로 잘하는지 뭔지, 어쩔 때 나는 가장 큰 보람을 느끼는지를 제대로 찾아야 어떤 일을 좋아하고 잘하는지 알 수 있을 것 같다. 

 

내가 보람을 느낄 땐 첫째로, 여러 사람들과 협업할 때 어떤 일이 90% 이상 수행되고, 별탈없이 끝마칠 때 뿌듯함을 느꼈다. 둘째, 상이나 보상이 주어질 때 나는 보람을 느끼는 편이다. 특히 월급이 들어올 때, 그날 하루는 행복하다 

셋째, 내가 하는 일이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 전문 지식이 있는 일을 할 때 재미를 느꼈다. 모르는 것은 찾아보고 알아보고 주어진 일을 할 때 재밌었다. 

 

더 생각해보고 자기소개서, 면접에도 7가지 보고의 원칙을 모두 적용하면 최종합격이라는 글자를 보게 되지 않을까 싶다.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