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자기혁신] 성과를 지배하는 바인더의 힘(Feat. 꿈 리스트 만들기)

독서

by bigshotlisa 2020. 12. 29. 23:43

본문

성과를 지배하는 바인더의 힘 - 강규형

 

성과를 내는 사람들의 3가지 공통점 

  • 억대 연봉자들은 열심히 하기보다는 잘하는 사람, 성과를 올리는 습관적인 능력이 있음 
  • 자기 자신만의 독특한 자기관리법 체득 
  • 슬럼프와 스트레스 관리 능력이 뛰어남 

관리는 보통사람이, 보통의 의욕으로, 보통으로 노력해서, 보통 이상의 성과를 올리는 수단을 만드는 것 

 

열정이란 목소리가 큰 것이 아니라 10년 혹은 20년 이상을 지치지 않는 것

 

성과를 올리는 것은 습득될 수 있다 

 

성공을 하려면 K(지식)A(태도)S(기술)H(습관)가 있어야 한다

 

기록이나 메모도 중요한 기술이고 노하우며 지적 자산이다.

 

사소한 것이라 생각되는 것조차도 모두 메뉴얼이 되어야 한다. 

 

백만장자의 성공요인은 자기관리가 철저하고 정직하다는 것이다.

 

3가지 경영

  • 자신경영
  • 조직경영 
  • 사회경영 

대화를 시작할 때 당신이, 선생님께서로 시작해야 한다 -> 나 자신에게 유일한 관심이 있기 때문에 상대방 중심의 단어로 시작해야 상대방을 설득할 수 있고, 나아가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다. 

 

[하버드 스타일] -> 꼭 읽기

하버드가 제공하는 최고의 교육은 머리로 하는 공부가 아니라 자신을 매섭게 단련할 수 있는 기회, 강인하고 끈질긴 기질, 여러 가지 일을 도이시에 잘 해낼 수 있는 자기 관리 능력, 치열하게 경쟁하면서도 남을 배려할 줄 아는 여유를 갖춰야 한다. 

 

꿈 리스트

  • 될까 안될까를 절대로 고민하지 말라. 절대 이루어지지 않는 것 같은 것들이 좋다.
  • 되도록 구체적일수록 좋다 
  • 처음부터 빈 칸을 다 메우지 않아도 된다 
  • 가족끼리, 친구들끼리 함께 하고 발표한다 

사명: 내가 ~ 해서 기여하겠습니다

비전: 내가 ~되겠습니다.

 

목표를 종이에 기록하면 목표 스스로가 목표를 이룰 힘을 가진다. 시각화되어 눈으로 보이는 목표는 우리의 뇌에 작용하여 이미 상상이 아닌 현실의 세계로 구현되기 시작한다. 

 

인생의 중,장기 목표가 있어야 경쟁에서 패배하여 상처를 입더라도 다시 벌떡 일어나 뛰어갈 수 있다. 

 

역산 스케줄링

약속을 잘 지키는 사람은 예외 없이 약속 10분 전을 목표로 역산한다. 가난한 사람은 먼저 스고 남은 돈을 저축하지만 부자들은 먼저 저축, 투자하고 남은 돈을 쓴다. 성인병 환자들은 몸을 망치고 돈을 벌어서 병원에 갖다 준다. 

 

 

2020-12-29

 

자기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은 정말 어렵다. 그리고 습관이 되어 있지 않으면 꾸준히 하지 못한다. 

임원 면접 때 열정이 무엇이라 생각하나? 라는 질문에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것입니다 라고 답했더니 한 임원이 열정은 꾸준한 것이라는 답을 들었고, 꾸준하게 하는 것이 있나? 라고 물어본적이 있다. 그땐 운동이라고 거짓말로 대답을 했다. 

왜 이런 질문을 했는지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내가 만났던 성공한 사람들은 자기 관리가 철저하다. 특히 아침형 인간이 많았고, 한 운동을 꾸준히 하는 사람들이 많았는데 이런 사소한 것들이 쌓여 성공할 수 있었구나.. 를 책을 통해 다시 느꼈다. 

 

아침 6시 30분에 일어나는 것이 이제는 적응이 됐지만, 바로 일어나서 자기 확신의 말 가지기, 긍정적인 아침 보내기는 잘 되지 않는다. 그래도 예전에 어거지로 일어나는 것 보다 알람 한 두번에 바로 일어나는 것 보니 꾸준히 하면 나도 아침 기적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올해 안에 중장기 계획을 달성해서 바인더 배송오면 바로 작성 시작하고, 성과를 낼 수 있는 습관을 가지도록 철저히 노력해야겠다. 

 

  • 상대방 중심의 단어 사용하기 
  • 비전리스트 생각만 하지 말고 실제로 종이에 작성하기 
  • 꿈 리스트 허무맹랭해도 최대한 많이 작성하기 
  • 먼저 저축하고 남은 돈 사용하기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