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자기혁신] 성과를 지배하는 바인더의 힘 (Feat. 자신 알기)

독서

by bigshotlisa 2020. 12. 30. 23:14

본문

성과를 지배하는 바인더의 힘 - 강규형

 

인생의 목표를 다른 사람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에 두지 말고 나에게 가장 최선인 것에 두십시오 

 

하버드생의 핵심 노하우

1. 시간관리를 철저히 하라 

2. 교수와 친해져라 

3. 다양한 강의를 골고루 들어라 

4. 과제물과 시험이 많은 강의를 택하라 

5. 스터디 그룹을 짜라 

6. 글쓰기에 주력하라

7. 외국어를 공부하라 

8. 공부와는 무관한 과외활동에 몰두하라 

9. 문제가 생기면 말하라 

 

하루 86,400초가 입금되는 통장 

- 매일 아침 눈만 뜬다면 우리는 86,4500초를 부여받지만 낭비할 만큼 충분한 시간 또한 아님을 잘 알고 있다. 

  • 시간관리도 내가 사용하는 시간의 현주소를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시간 낭비의 원이을 제거하고, 위임할 것은 위임하고 다른 사람의 시간까지 낭비하는 시간의 비생산적인 요소를 없애라 
  • 시간을 하나의 묶음으로 모아라, 급한 일과 중요한 일 중에 중요한 일을 먼저 하는 사람이 최후의 승자가 된다 
  • 성과를 올리는 사람은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명확히 파악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 긴급한 일 중에 중요한 일은 없고, 중요한 일 중에는 긴급한 일은 없다. 

하루를 이틀처럼, 숨겨진 플러스 3시간

시간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첫번째는 시간을 기록하는 것, 두 번째는 우선순위 확보, 세 번째는 새벽시간을 활용해 2~3시간 확보 

 

오후 11시에 취침해서 새벽 5시에 일어나는 것이 외부 환경과 인체 리듬을 고려해 최적 

  • 아침과 싸우면 백전백패다. 아침에 기를 쓰고 일어나려 하기 전에 저녁과 싸워 일찍 잠들어라.
  • 새벽 스케줄을 채워라. 아침에 꼭 일어나지 않으면 안 되는 프로그램으로 시작하라. 
  •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라
  • 새벽시간을 이용해 이루고자 하는 큰 덩어리의 목표를 정하는 것이 큰 동기 부여갸 된다
  • 출근이나 등교시간 보다 30분 일찍 도착하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3일간 계획하고 실천하고 또 3일간 목표를 잡고 실행하면서 작심삼일을 반복하는 사람이 승리한다. 

 

알보시고 : 알려주고 -> 보여주고 -> 시켜보고 -> 고쳐주고 

 

매일, 주말, 휴일 3%의 습관

  • 주간 계획표는 책상에 늘 펴놓고 일하는 것이 좋다 
  • 아침 업무 시작 전 5분, 점심식사 마치고 5분, 하루 업무 끝나기 전 5분을 활용해 주간계획표를 기록하고 점검하고 체크하는 습관을 갖자. 

두뇌의 짐 일부를 종이에 맡겨야 한다. 

 

독서계획 

1) 연간목표 세우기 -> 매년 50권씩 3년을 읽으면 그 분야에 전문가가 된다. 

2) 월간, 주간 독서 계획을 세운다 

3) 추천도서 리스트를 확보한다 

4) 목표와 평가 : plan do check 

 

독서습관 

1) 집중할 수 있는 독서 환경 

2) 책을 늘 휴대 

3) 개인 R&D -> 수입의 3~10%는 나를 위한 자기계발 비용으로 사용해야 한다 

4) 독서모임 

5) 지하철 독서실 

6) 줄 치고 메모하며 읽기 

7) 목적적 책 읽기 & 적용 -> 아무 책이나 읽어서는 안되고 목적을 가져야 한다, 개인적용, 조직 적용을 습관화

 

일자리 구하기 VS 인생 구하기 

- 나의 존재 이유는 무엇일까? 

- 이 일을 하는 목적과 사명은 무엇인가? 

 

자기 자신 이해하기 

꿈 리스트, 사명선언서, 비전선언문, 평생계획표, 연간계획표, 월간, 주간계획표를 통해 내 자신을 꼼꼼하게 분석하기 

 

 

2020-12-30

성과를 지배하는 바인더의 힘에서도 아침 시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리고 이 책의 가장 큰 핵심은 자기 자신을 잘 분석하기 위해 꿈 리스트, 계획을 토대로 내가 어떤 사람인지, 나는 무슨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지를 먼저 알고 난 후 취업을 준비하는 것이 더 중요한 것 같다. 

 

나에게 있어 가장 급하고 중요한 것은 자소서, 면접이 아니라, 내가 어떤 사람인지, 나는 무슨 목표를 가지고 있는지,

내가 이 일, 이 업계에서 왜 일하는지, 왜 이런 일을 선택했고, 전문가가 되고 싶은 지를 먼저 분석하고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책을 읽으면서 막연한 나의 꿈을 생각해보면, 나는 멋진 커리어우먼이 되고 싶고, 60살때도 일하고 있는 멋진 어른이 되고 싶다. 경제적으로 심적으로도 여유있는 사람이 되는 것이 나의 가장 큰 목표이다. 남 밑에서 일하고 싶지 않으며, 언젠가는 내가 지도하는 삶을 살아보고 싶다.

 

학부시절을 정리하면서 느낀 것은 나는 사람들과 같이 일하는 것을 좋아하며, 혼자할 수 있는 일(특허사무소에서 논문 정리하고 특허 검색했던 일, 협회에서 계약직으로 서류상 오류 없는지 꼼꼼하게 찾는 일)등 혼자하는 일은 따분해하고 지루해하는 사람이다.

 

팀 프로젝트로 새로운 것을 창조할 때, 그리고 나는 팀 프로젝트를 할 때 성과가 좋았던 사람이다. 상을 받고, 서로 갈등이 있더라도, 팀이 무너진적은 없다. 나는 협업을 잘하는 사람인 것 같다. 팀 프로젝트를 할 때 가장 열정적으로 임하며, 내가 자발적으로 맡은 일에 책임을 다하는 사람이다. 그리고 그에 따른 보상을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한다. 또한, 남들에게 인정(칭찬이라던가, 금전적으로, 또는 학점)을 받을 때 가장 뿌듯함을 느끼고, 그것이 내가 팀프로젝트를 할 때 주어진 업무나 내가 자발적으로 일을 하는 원동력이 되는 것 같다. 

 

작은 조건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인 것 같다. 예를 들어 어떤 일을 하는데 점심 시간이 주어지지 않거나, 점심식사비 등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것들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마음 속에서 작은 불만이 올라온다. 나는 조건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어떤 일을 할 때 지켜져야만 일을 하는 것 같다. 하지만 캡스톤 디자인을 할 때 가장 재밌고, 성실했는데, 내가 낸 아이디어가 실제로 만들어질 때 재밌어하고, 큰 보람을 느꼈다. 

 

나의 장점은 실행력이지만 단점은 꾸준하지 못하다는 점이다. 도전정신은 강하지만 어떤 일을 할 때 단기로 일을 끝내고 싶어 하고, 장기적으로 꾸준히 하는 것을 못하는 사람이다. 그래서, 다이어리만 여러개고, 공부하려고 산 책만 수십권이 된다. 내가 현실적으로 지킬 수 있는 일은 작심삼일, 3일 목표를 정해서 꾸준히 하고, 스스로에게 어떤 보상을 주는 것이 내가 현실적으로 지킬 수 있는 일인 것 같다. 보상은 예를 들어, 목표를 이루고 나면 옷 사기, 화장품 사기, 주식 소액 투자하기 등 내가 갖고 싶은 것을 사거나 어디에 투자함으로써 스스로 꾸준히 할 수 있는 힘을 기르고 습관을 만들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 같다. 

 

아무리 내가 열심히 자발적으로 하는 일이라도 밤 10시가 넘어가면 힘들어서 집중이 안되며, 나는 아침형 인간으로, 12시안에, 최소 6시간을 자야 하루를 에너제틱하게 살 수 있는 사람이다. 지치지 않는 열정을 가지려면, 체력관리와 수면관리 시간관리를 보다 세세하게 열심히 해야겠다.  

 

내일 할 일 

1.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신문 읽기 (신문읽기 시작)

2. 자소서 프레임워크의 기획자 역량 찾고 그에 맞는 경험 찾아보기 

 

 

 

728x90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