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코 주력 제품: 반도체 및 LCD 장비를 구성하는 부품을 제작하는 부품사업부문과 반도체 및 LCD 장비를 구성하는 부품의 세정과 코팅을 영위하는 세정사업부문
1. 미코 제품 경쟁 우위
세라믹 소재 부품 제작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유일의 반도체 공정 장비용 고기능성 제품들을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 (참고-다트 반기보고서)
2. 재무제표 분석
1) 우량성 파악
- 당기순이익: 당기순이익은 일정 기간 동안 영업은 물론 비영업활동을 통해 얻은 이익의 총계
보통 세후순이익
- 영업이익: 영업이익은 매출에서 영업과 관련된 비용을 차감한 금액
2) 안정성 파악
- 미코 자기자본비율: 자본/자산*100
= 63,217,890,215/129,824,069,378 * 100 = 48.69504593 = 49% 정도, 자기자본비율이 30% 이상이므로 기업 양호
- 기업 부채비율 = 약 160%
3) 운영성 파악
- 총자산이익률(ROA: Rate of return on asset):
전체 자산 중에서 한 해 벌어들인 이익이 차지하는 비율로 계산, 5% 이상인 경우 수익성이 높다고 간주
- 미코 ROA: 6.4% (네이버 금융 financial summary 참고)
- 자기자본이익률(ROE: Return On Equity):
기업의 자본에 대한 이익의 비율로 계산, 20% 이상 정도면 수익성이 매우 높다고 평가
- 미코 ROE: 4.09% (네이버 금융 financial summary 참고)
4) 성장성 파악
-총자산증가율:
총자산증가율은 전년도 자산 대비 금년 자산이 얼마나 늘었나에 대한 비율이고,
30%이상이면 우량기업, 5%이하이면 부실기업으로 보시면 됩니다.
= 당해년도 총자산 / 직전년도 총자산 x 100 - 100
미코 총자산증가율: 4,727/3,577 = 32% => 우량기업
-매출증가율: 기업의 외적인 신장세를 나타내는 비율,
매출액의 증가는 판매단가의 인상이나 판매량의 증가가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그 원인분석 결과는 유용한 정보로 이용
= (올해의 매출액 - 전년도 매출액) / 전년도 매출액 * 100
미코 매출증가율: 711-592/592*100 = 약 20% => 성장률이 높음
-이익증가율: 전년도 이익 대비 금년 이익이 얼마나 늘었나에 대한 비율
- 미코가 최근 급성장한 이유
1) 소재 국산화: 세라믹히터와 ESC(정전척)의 국산화에 대한 기대감, 세라믹히터와 ESC는 일본이 95%정도 기술력을 갖추고 있는데, 미코가 기술을 보유
2)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시장 진입: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에 대한 연구개발 진행
2) 미코 체외진단 의료기기 개발사 미코바이오메드를 자회사로 두고 있음
[IT_보안] 드림시큐리티, 드림시큐리티 기업 분석 (0) | 2020.09.18 |
---|---|
[IT_클라우드] 케이아이엔엑스, 케이아이엔엑스 기업 분석 (0) | 2020.09.17 |
[IT_AI] 위세아이텍, 위세아이텍 기업 분석 (0) | 2020.09.16 |
[제조_통신장비] 케이엠더블유, 케이엠더블유 기업분석 (0) | 2020.09.15 |
[제조_2차전지] 에이프로, 에이프로 기업 분석 (0) | 2020.09.1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