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 장점 | 전략 | 약점 | 기타 |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 1. 수신 고객에게 주는 이자를 줄이고, 대출은 지속적으로 늘려가고 있어 이자수익을 더 높임 2. 모임통장, 26주 적금, 저금통과 같은 금융 상품이 카카오뱅크가 더 낮은 이율로 돈을 조달 3. 전체 수신액 중 금리 0.1% 수준의 요구불예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48.8% 4. 주담보 대출 상품 출시 예정 |
1. 다른 회사들의 금융 상품을 적극적으로 소싱 및 판매하여, 금융 상품 판매를 중개하는 플랫폼으로 진화 -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등 증권사의 증권 계좌 개설을 지원하고, 신용등급이 낮아 직접 대출해주기 어려운 고객에게 제 2금융권 대출 상품 연계 -> 삼성, KB, 신한, 씨티카드 등과 제휴해 신용카드 발급 |
1. 모바일 서비스에서의 고객 행동을 완벽히 이해, 사용자 경험과 사용성에 집중 2. 키패드 하나도 신경써서 만들 정도로 디테일에서 상당한 차이를 둬야 함 3. 앱 속도도 극한으로 높히려고 노력 |
|
네이버 | 쇼핑, 검색, 증권, 부동산 등 다양한 부문에서 선도적인 지위 점하고 있어 각 사업 영역과 금융 서비스를 연계해가며 사업 확장 예상 |
1. 네이버 쇼핑 플랫폼 판매자를 대상으로 사업자 대출 상품 출시 예정 -> 네이버 쇼핑 플랫폼의 소형 유통사들은 판매 물품을 매입하기 위해 자금을 필요로 하지만, 금융사에서는 개별 판매자의 판매 현황을 파악하기 어려워 대표의 개인 신용 정보를 평가해 대출 집행 2. 36만명 이상의 판매자와 가맹점 결제 정보를 확보한 만큼 실시간 판매 데이터 현황 등을 활용해 고도화된 신용평가 모델 선보일 전망 |
||
NHN | 1. 이용자에게 맞는 쿠폰을 발송하는 한편 최적의 보험·CMA·대출 등 긍융상품도 추천 2. 페이코는 금융 분야에서 유일하게 마이데이터 시범사업자로 선정 3. 아울러 현재 200만원인 선불전자지급수단 충전 한도는 500만원으로 늘린다. 신용카드사와 달리 현금서비스와 리볼빙, 할부 서비스는 제공할 수 없다. 4. 생활밀착형 플랫폼의 입지를 강화하는 동시에, 나만의 금융 서비스 경험을 선사하는 장을 마련 |
|||
토스 | 미국의 스트라이프 벤치마킹 토스페이먼츠: 잘 정제된 코드를 통해 많은 가맹점이 쉽게 결제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함 |
1. 신용등급 조회, ATM 출금, 부동산 소액 투자, 신용카드 발급, 대출 및 보험 중개 등 40여가지 금융 서비스 제공 2. 토스페이먼츠, 토스 증권, 토스인슈어런스, 토스뱅크 |
1. 유저 리서치 팀을 두고 여기서 수집한 사용자 욕를 서비스에 반영 - 서비스 테스트 고객에 대한 심층 인터뷰, 설문 조사 등 여러 방법을 통해 사용자가 최대한 직관적으로 토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개선 |
* PG 사업: 온라인 쇼핑몰, 카드사, 은행 등에 결제 솔루션을 구축하고 대금을 정산하며 수수료를 받음
* 스트라이프: 가맹점이 결제 시스템을 간단히 구현할 수 있도록 개발자 대상의 개발 도구 제공, 고객사에서는 결제 서비스를 위해 복잡한 개발 과정 없이 스트라이프 코드 몇 줄만 붙여넣으면 스트라이프 결제 시스템 사용 가능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