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자기혁신] SW 기획자가 하는 일이란?

취업

by bigshotlisa 2020. 12. 31. 21:56

본문

1. SW 프로세스 

- 요구사항 > 설계 > 구현 > 검증 > 운영 

 

이때 기획자는 각 단계별 어떤 업무를 수행하는지 확인하고, 요구사항에 맞게 개발이 잘되고 있는지 확인

1) 기획자는 요구사항 항목에서 요구사항 수집/분석/정의/관리(검증) 업무 수행 

2) 요구사항 정의서를 기반으로 화면설계서 및 기능명세서 작성 (이때, 개발자, QA가 명확하게 이해하도록 IT지식을 활용해 작성)

3) 기획자의 설계를 베이스로 개발자들이 시스템 설계 및 구조설계 진행 

4) 구현 단계에서 일부 누랑된 항목이나 잘못 설계된 부분으로 인해 기획자와 개발자의 의사소통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5) 검증 단계에서 기획자는 개발된 산출물이 자신의 의도를 만족하는지 검토하고 피드백하며 기획 검수나 개발자 테스트 단게에서 기획자가 업무 수행 

6) 운영단계에서 기획자는 GA와 같은 분석툴의 데이터 사용량, VOC들을 확인하고 제품의 문제점 해결을 위한 고민 및 새로운 백로그를 만드는 행위 진행 

 

* 기획자는 전 단계에 의견을 피력하며 개발자와 소통하기 위해 기획자는 주로 개발을 했던 사람들 그리고 프로그래밍 지식이 있는 사람을 선호한다 

 

 

2. 화면설계서

- SW개발을 위해 만들어지는 작업 지시서

- 화면에 대한 정의화 화면에서 이루어지는 기능에 대한 정의가 된 문서

 

디자이너는 기획자가 작성한 화면설계서 기반으로 UI/UX 설계 및 비주얼 디자인 진행, 개발자는 화면설계서에서 정의된 기능 구현 

 

 

화면설계서는 클라이언트/어드민단 나눠서 설계해야 하며, 고객과 관리자 화면 둘다 각 고객에 맞게 설계해야 함

 

 

3. 기능명세서

- 구현해야 하는 기능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는 문서로, 해당 기능이 어떻게 작동해야 하고, 작동이 되지 않았을때는 어떻게 처리(에러) 해야 하는지에 대한 상태 기재

- 무엇을, 어떻게 만드는지 정의되어야 하며 기획자는 무엇을 만들것인지 초점을 두고 기재 

- 개발자는 기능명세서를 보고 전체 구조/설계를 함께 고려해서 어떻게 구현 

- 개발자와 QA가 이해갈 수 있도록 정확하고 명시적으로 작성해야 함 

- 문서를 가장 많이 볼 개발자가 편한 방식을 주는게 좋음 

 

4. 주요 역량 

1) 기능명세서, 화면설계서 작성해본 경험이 있고 직접 기획한 경험이 있는 사람 

2)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이해도가 높고, 프로그래밍 이해도가 높은 사람 

3) 여러 개발자와 소통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역량 

4) IT 인프라, UI/UX, DATA Science 능력 

5) 개발환경에 대해 많이 이해하고, 개발자와 프로젝트 agenda를 이루기 위해 완료 일정을 균형있게 맞춰나가야 함 

6) 개발자의 고충을 이해하고 실현가능성과 스케줄링 관리를 잘해야 함 

7) excel, sql 등 데이터 분석역량

8) IT는 이종간 결합 및 연결이 활성화되어 있어 타 분야에 대해서도 끊임없이 공부하고 연결고리가 무엇이 있을지 직접 고민하는 자세가 필요 

9) 통합적인 기획 사고력 (왜, 무엇을, 어떻게 등)

10) 제안 능력 

 

참조) UI UX의 차이
http://blog.naver.com/bell_rings/220483659710
참조) 웹 서비스 기획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것
http://cafe.naver.com/dbrinsight/1087

참조) 모바일 UI 디자인 참고 사이트 15
http://www.fbml.co.kr/2013/10/11/all-about-mobile-design-ui-sites/
참조) UX, UI 기획자들이 알아야 할 Wire frame
http://cafe.naver.com/dbrinsight/1087

 

728x90

'취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혁신] 직무 찾기, 직무 알아보기  (0) 2020.12.28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